프로젝트가 끝나고 팀장님 저장소에만 있던 repository 를 내 저장소로 가져와서 미래의 내가 수정할 수 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하나의 저장소에서 브랜치를 나눠서 사용했는데
포크를 해서 여러 저장소를 만들고 pull request 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그치만 난 이미 다 끝났기에 그냥 내 레포지토리에 fork 해서 혼자서만 끄적일 것 같다.
fork 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한데, 깃에서 포크하는 방법만 알려주고 뒷 이야기는 알려주지 않는 글이 많아서, 난 돌고 돌아왔다. 물론 내가 글을 제대로 안읽은 거일 수도 있지만;)

복사하고 싶은 repository 에 가서 fork를 누르기만 하면 된다.

Create fork 를 누르고 나면 내 repository 로 복사가 된다.
그럼 이제 깃허브는 해결 했고 제 컴퓨터에서는 어떻게하죠 하다가 글 몇 개 찾아봐도 여기까지만 설명해주고 이 이상을 말해주는 글은 없는 건지,,나는 아무것도 모르는데...ㅠㅠ
내 컴퓨터에서 이제 작업할 파일을 하나 만들고, git bash를 켜서 저장위치로 이동했다.
$ cd 저장하고_싶은_디렉토리
$ git clone 복사한_git주소
//원격 저장소의 이름 가지고 오기 처음에는 origin만 뜸
$ git remote
//새로운 원격 저장소 추가
$ git remote add 새로운_원격저장소_이름 fork한_git주소
//로컬 저장소에는 없지만 원본 저장소에 있는 데이터 가져오기, fetch 명령어
$ git fetch 새로운_원격저장소_이름
데이터를 가져오는 git fetch가 fork의 메인이었던 것 같다.
'git & github 공부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_Store 파일 제거 (0) | 2023.04.09 |
---|---|
Git Archive 명령으로 소스코드만 압축하기 (0) | 2023.01.27 |
Git README.md 파일 작성하기 (0) | 2023.01.25 |
Git log 관리 (0) | 2023.01.21 |
Git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 관리 (0) | 2023.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