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서버 구축 방법
- 본인의 컴퓨터를 직접 서버로 구축하는 방법
- 일정 요금을 내고 외부 서버를 임대해 사용하는 방법
- 서버 호스팅 : 서버 임대
- 자체적인 관리 필요
- 유동적인 작동 환경
- 웹 호스팅보다 비쌈
- 웹 호스팅 : 서버의 일부분만 임대하여 다른 사용들과 서버 공유
- 저렴한 가격
- 서버 자체를 호스팅 사에서 운영 → 쉬운 사용
- 트래픽, 용량 등의 제약
- 서버 호스팅 : 서버 임대
클라우드 서버
실제 물리적인 컴퓨터 한대로 서버를 운영하는 것이 아닌 프로그램으로 가상의 컴퓨터를 생성해 서버를 운영하는 방식이다. 짧은 시간에 서버를 만들 수 있고, 컴퓨터의 물리적인 한계를 넘어서 저장공간을 무한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론상의 많은 접속량이 발생해도 서버가 다운되지 않는다.
- Naver Cloud Platform
- AWS(Amazon Web Service)
서버 접속
- window → putty → 서버 접속 → passwd 변경할 비밀번호 입력
- mac → 터미널 → ssh
FileZila
- 서버에 파일 전송 ftp sw
웹 서버
많이 이용하는 웹 브라우저와 같은 클라이언트들로부터 http 요청을 받아들이고 HTML 문서와 같은 웹페이지를 반환하는 일종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이다.
Apache
- http 표준 준수하도록 구축된 오픈 소스 형식의 웹 서버
- 다양한 모듈
Apache 설치
apt-get update
apt-get install apache2
ACG설정을 통해 80번 포트 활성화(naver cloud platform)
IP
- Internet Protocol
-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통신 규약
IP 주소
- 데이터를 주고 받는 주소
- IP 주소 확인하기 : cmd → ipconfig
유동 IP vs 고정 IP
유동 IP
- IP 갱신 주기가 되었을 때, 남아있는 IP 를 골라 기기에 할당
- EX) 와이파이 공유기
고정 IP
- 사용자가 직접 IP주소를 입력해 주소를 설정하는 방식
- IP를 한 번 부여 받으면 반납 전까지 해당 IP 할당 (변경x)
도메인(Domain)
- ip주소는 한눈에 파악하기 어려워서 보다 분명한 도메인 사용
- EX) 카페24, 호스KR
DNS(Domain Name System)
- ip 주소와 특정 도메인 주소가 같다는 것을 지정해두고, 인터넷 사용자들이 도메인 주소를 검색했을 때 IP 주소로 연결되도록 해주는 것
'[Study] BE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네이티브 CI/CD: 자동화된 배포의 핵심 전략 (1) | 2025.01.15 |
---|---|
소프트웨어 개발의 핵심 전략: Waterfall, Agile, 클라우드 네이티브, DevOps 완벽 이해 (0) | 2025.01.15 |
[포스코x코딩온] 데이터베이스 (0) | 2023.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