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add 하려고 했는데 in the working copy of 'package.json', LF will be replaced by CRLF the next time Git touches it package.json의 복사본이 있다고 합니다..깃이 다음에 그것을 건드릴 LF(unix줄바꿈)은 CRLF(window줄바꿈)으로 대체할 것이다...? 자세히 해석하자면 LF(Line-Feed)는 unix계열의 줄바꿈 문자열이고, CRLF는 Windows의 줄바꿈 문자열이다. 원인 : OS마다 줄바꿈을 보는 문자열이 다르기에 git은 어느 쪽을 택해야할지 모르고 경고 메시지를 띄운다. 해결 : 간단하게 자동 변환해주는 core.autocrlf 기능 켜주기! git config --global core.au..
문제 : push 하려고 했는데, origin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 원인 : 레포지토리 생성 후 연결 과정에서 생긴 문제 1) git remote -v 로 원격 저장소 확인 2) 현재 연결된 주소를 해제 하자! git remote remove origin [연결된 주소] origin 저장소 연결 끊기 -> No such remote: 'origin' 라면 다시 연결하면 된다 3) git remote add origin [레포지토리 주소] 4) git remote -v origin 에 잘 연결됨 이후 push Reference https://letsgojieun.tistory.com/103 git 에러 : 'origin' does not appear to be a git repository 해결 어제부터 ..
✏️5주 차 수업 처음 배우는 것도 있었고, 3주 차 때 배웠던 내용도 있어서 복습하는 시간이었다. 이번 시간 아니었다면, 1차 프로젝트 종료와 동시에 node 내 머릿속에서 사라졌을 것이다. 수업시간 처음부터 끝까지 다 처음 듣는 내용만 배우는 것보다 전에 했던 내용을 복습하면서 진행하니까 다급하게 따라가야겠다는 생각도 안 들어서 수업에 더 집중할 수 있었다. 계속 사용할 내용이라 더 신경 써서 수업해 주신 듯하다. 내 컴공 지식 여기와서 하나도 쓸모가 없구나 하고 있었는데, 백엔드를 보니 드디어 빛을 바랄 수 있겠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고, 확실히 프론트 수업할 때보다 더 재밌어진 것 같다. 노베이스로 여기 왔다면 아마 탈출하지 않았을까. 강사님이 수업 중간중간마다 git push 하자고 해주셔서 까먹..
동기 처리 vs 비동기 처리 작업을 어떤 흐름으로 처리할거야? 세탁기가 다 돌아가야 설거지를 시작할 수 있어! => 동기 처리 세탁기가 돌아가는 동안 설거지를 하자! => 비동기 처리 동기 처리(Synchronous) : A가 B의 작업 완료 여부를 확인하고 완료를 기다리는 것 비동기 처리(Asynchronous) : A가 B를 부를 때 콜백함수를 같이 보내서 B의 작업이 끝나면 콜백함수를 실행하고, 호출 이후, B가 완료하든 말든 신경쓰지 않는다. setTimeout() setTimeout() 메서드는 시간이 만료되면 지정된 코드를 실행하는 타이머 역할이다. //delay동안 기다리다가 code 함수 실행 setTimeout(code, delay); 기다리지 않고 다음 줄을 실행함 => 비동기 처리 비..
🪙 todays-account-book 프로젝트 소개 1인 가구를 위한 가계부 ✍ 프로젝트에서 담당한 기능 start page 떨어지는 동전 animate.style transform: translate(), rotate(), skew() 사용 animation-duration으로 동전마다 시간 조절 main 사용 설명서 sweetalert2 사용자의 여러 가지 경우 생각 -> then if문 반복 => 피드백 : 이 아니라 함수 사용을 했어야 했다. 다른 팀원께서 강사님께 질문했다가 피드백을 받은 부분이었다. 사용자가 사용 설명서를 읽을 경우 / 읽지 않을 경우 / 읽다가 중간에 닫을 경우를 생각하여 close 버튼과 다음 버튼으로 구성 하였다. 맞춤형 생활 정보 swiper slider 사용 cove..
Node.js 장점 스크립트 언어이기 때문에 어느환경에서도 동작한다. 성능이 빠르고 좋다. 배우기 쉽다. Javascript를 쓰는 개발자가 많다. 백엔드 구축 npm 노드 패키지 관리 틀 npm 사용 npm init : 프로젝트 시작 명령어 npm init --yes : package.json이 생성될 때 기본값으로 생성 npm install packageName : 프로젝트에서 사용할 패키지 설치, 설치된 패키지의 이름과 정보는 package.json의 dependencies에 입력 됨. nodejs 노드 서버 구축시 필수 설치 nvm ubuntu 환경에서의 진행을 위해 노드의 버전 설정 모듈 필요한 함수들의 집합이다. const test_module = require("module_name"); 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