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신러닝 기말고사 공부) 분류를 위한 회귀 분류는 데이터를 정해진 몇 개의 클래스 중 하나로 분류하는 문제이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어진 학습 데이터에서 입력 데이터와 해당하는 출력 레이블 사이의 관계를 찾아내는 것이 목표이다. 보통 분류 작업을 위한 학습 데이터는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쌍은 입력 데이터(특성들의 값)와 그에 해당하는 출력 클래스(레이블)로 이루어져 있다. 분류기는 이러한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류하는 프로그램이며, 주어진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적절한 클래스 또는 레이블을 할당한다. 로지스틱 회귀 로지스틱 회귀는 주어진 입력 특성들을 사용하여 특정 클래스에 속할 확률을 추정한다. 이름에는 회귀라는 용어가 포함되어 있지만, 이진 분류를 위한 모델이다. 로지스틱 함..
병렬식 고정 우선 순위 중앙 집중식 우선순위 중재 방식에서는 모든 버스 마스터가 하나의 버스 중재기에 접속하고, 중재기에 따라 우선순위가 부여된다.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마스터는 버스 사용 가능 신호(BGNT)를 받을 수 있다. 중재기는 한 번에 하나의 버스 마스터에게만 버스 사용 권한을 부여하여, 버스 사용이 가능한 상태일 때 즉시 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버스 사용이 끝날 때까지는 다른 마스터가 대기해야 한다. 버스 사용이 끝나면 BBUSY 신호가 해제되어 다른 마스터가 버스 사용을 요청할 수 있다. + BBUSY : 버스가 사용 중임을 알리는 신호 분산식 고정 - 우선순위 중재 방식 우선순위 중재 방식에서는 각 버스 마스터가 자신만의 중재기를 보유하고 있다. 이 중재기는 해당 마스터보다..
명령어의 처리 과정은 컴퓨터의 기본 동작 단계로, CPU가 명령어를 가져와 해독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CPU는 여러 구성 요소와 기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명령어 처리에는 다양한 단계와 구성 요소들이 관련되어 있다. CPU 구조와 기능: 1. 레지스터: 레지스터는 CPU 내부에 있는 속도가 빠른 메모리로, 명령어를 저장하고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이 중 중요한 레지스터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누산기 (Accumulator) 1주소 명령어를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연산의 중심이 되는 레지스터이다. 연산 결과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거나 중앙에서 다른 레지스터로 전송된다. 범용 레지스터 (General-purpose Register) 산술 및 논리 연산, 연산 결과의 임시 저장, 주소 색인 등 다양한 ..
캐시 메모리의 사상 방식은 주기억장치와 CPU 사이에 위치한 캐시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결정한다. 주로 세 가지 사상 방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1. 직접 사상(Direct Mapping) 주소를 캐시 블록에 직접 매핑하는 방식이다. 메인 메모리 주소를 캐시 주소로 직접 변환하는 것으로 캐시 라인의 인덱스에 주소를 할당한다. 한 주소가 특정 캐시 라인에만 매핑되므로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캐시 매모리에 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체 전략(LRU 등)이 필요할 수도 있다. 각 메모리 블록이 캐시 슬롯 하나에만 할당되는 방식으로 간단한 하드웨어 구현이 가능하지만 충돌 발생 시 슬롯을 공유하는 다른 블록이 적재될 때 Swap-Out될 가능성이 있다. 직접 사상 캐시의 예 기억장치 블..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2022년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수집한다. 관련 논문 및 자료를 참고하여 데이터셋을 만들 것이다. 갈 길이 멀기에 모델 학습을 먼저 한 뒤 결과에 대한 문서화는 추후에 다시 정리할 예정이다. 1. 서울 특별시 공공자전거 이용정보(시간대별) 서울특별시 공공자전거 이용정보(시간대별)로 나와있는 데이터를 2022년 기준으로 달 별로 데이터를 다운받아서 하나로 합쳐야 한다. /data 라는 폴더를 하나 만들고 concat을 사용하여 합친다. (이러고 나니까 데이터가 커져서 오래걸렸다.) 사용하고자하는 칼럼은 대여일자, 대여시간, 이용건수 이기에 인덱스를 재정렬한다. 대여일자가 2022-09-14의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기에 년도, 월, 일, 요일(num), 공휴일로 시간 변수를 생성한다. 2...
엔티티 클래스 개발 예제에서는 Getter, Setter 모두 사용하지만 실무에서 Setter는 꼭 필요할 경우에만 사용 Getter 호출 막해도 ㄴ상관, Setter 호출 시 데이터 변화로 인해 변경 추척에 어려움 엔티티의 식별자와 PK컬럼명 : 테이블은 관례상 컬럼이름은 [테이블명 + id]을 사용하고, 엔티티 타입은 id로 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작성한다. 연관관계 Mapping 분석 코드 회원과 주문 domain>Order @ManyToOne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Member member; Order - Member : 다대일 관계 @ManyToOne Member - Order : 일대다 관계 @OneToMany @JoinColumn(name="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